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지식

고교학점제 이해와 세부 운영 방안

반응형

고교학점제 이해와 세부 운영 방안

교육부에서는 고교학점제를 단계적으로 이행하는 계획을 발표하였고 시행을 놓고 논란이 있었는데 2025년부터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고교학점제는 무엇인지 그리고 시행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부터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대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교학점제」

고교학점제는 고등학생이 기초 소양과 학력을 바탕으로 하여 진로·적성에 따라서 과목을 선택하고, 정해진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서 학점을 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세부 운영」

1. 진로에 따라서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는 제도

지금까지의 고등학생 수업이 정해진 교육과정에 따라 진행이 되었다면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자신의 진로에 따라서 원하는 과목을 직접 선택하여 수업을 듣게 됩니다.

2. 목표한 성취에 도달했을 때 과목을 이수하는 제도

기존의 고등학교 수업방식은 학생 개개인의 성취한 등급에 상관없이 과목을 이수하게 되는 방식이었다면,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목표한 성취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판단이 될 경우 과목의 인수를 인정하게 됩니다.

3.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한 경우 졸업하는 제도

기존에는 고등학교의 출석 일수를 충족하게 되면 졸업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목표한 성취 수준에 도달하여 이수 인정을 받은 학점이 졸업 기준에 충족되면 졸업이 가능하게 됩니다.

「운영 단계」

고교학점제 운영 단계
<출처 : 교육부>

고교 학점제는 학생 수요를 반영하여 학점 기반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학생의 학업 설계 결과와 수요 조사를 반영하여 개설 가능 과목을 확정하교 학생은 원하는 과목을 선택한 후 개인 시간표에 따라 수업이 듣게 됩니다.

 

이후 수업연계 과정중심의 성취평가를 실시하여 교사가 성취 기준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를 평가하여 이수 여부가 결정이 됩니다. 수업을 이수한 경우 학점을 취득하게 되고 학점 기준의 졸업요건에 충족이 되면 졸업을 하게 됩니다. 만일 성취평가에서 목표한 성취에 도달하지 못하여 이수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보충이수를 지원하게 됩니다. 

「시행 일정」

고교학점제는 2024년까지 특성화고에 학점제를 도입하고 일반계고에는 부분도입을 한 후 2025년부터 전체 고등학교에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오늘은 고교학점제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과 세부 운영방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에도 또 다른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만나겠습니다.

반응형